맨위로가기

랜딩 페이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랜딩 페이지는 방문자가 특정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설계된 웹 페이지로, 크게 참조형과 거래형으로 나뉜다. 2003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온라인 판매 부진을 해결하기 위해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최적화 기법이 개발되었다. 랜딩 페이지는 명확한 헤드라인과 가치를 강조하는 디자인을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며, 랜딩 페이지 최적화(LPO)를 통해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LPO는 타겟팅, 실험 기반으로 나뉘며, A/B 테스트, 다변량 테스트, 전체 경험 테스트 등의 기법이 활용된다. 또한, F자형 레이아웃, 메시지 매칭, 디자인 매칭 등도 랜딩 페이지의 효과를 높이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라인 광고 방식 - 타겟 광고
    타겟 광고는 소비자 집단의 특성에 맞춰 광고를 제공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이며, 웹사이트 방문 기록, 검색어, 소셜 미디어 활동 등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별 맞춤 광고를 제공하고, 소셜 미디어, 텔레비전, 모바일 기기, 검색 엔진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용되지만 개인 정보 보호 문제와 같은 윤리적 논란도 존재한다.
  • 온라인 광고 방식 - 네이티브 광고
    네이티브 광고는 웹사이트나 플랫폼의 콘텐츠 형식과 사용자 경험을 모방하여 광고처럼 보이지 않게 설계된 온라인 광고의 한 형태로, 홍보 동영상, 이미지, 기사, 검색 광고, 소셜 미디어 게시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광고 고지 의무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기만 문제가 제기되고, 개방형, 폐쇄형, 하이브리드형 플랫폼으로 분류된다.
  • 검색 엔진 최적화 - 전환율
  • 검색 엔진 최적화 -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는 사용자의 검색어에 대한 결과 페이지로, 자연 검색 결과와 유료 광고를 포함하며, 검색 엔진들은 다양한 기능을 통해 검색 결과를 강화하고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 온라인 광고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온라인 광고 - 타겟 광고
    타겟 광고는 소비자 집단의 특성에 맞춰 광고를 제공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이며, 웹사이트 방문 기록, 검색어, 소셜 미디어 활동 등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별 맞춤 광고를 제공하고, 소셜 미디어, 텔레비전, 모바일 기기, 검색 엔진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용되지만 개인 정보 보호 문제와 같은 윤리적 논란도 존재한다.
랜딩 페이지
랜딩 페이지
랜딩 페이지 예시
랜딩 페이지의 예
정의
설명마케팅 및 광고 캠페인으로 연결되는 독립 실행형 웹 페이지
특정 마케팅 또는 광고 캠페인에 대해 특별히 설계됨
웹사이트의 다른 영역에서 탐색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음
목적
주요 목표리드 생성
판매 유도
브랜드 인지도 향상
전환 유도방문자를 고객으로 전환
연락처 정보 수집
제품 또는 서비스 판매
특징
집중된 메시지하나의 특정 제안 또는 콜투액션에 초점
명확한 콜투액션 (CTA)방문자가 수행해야 할 작업을 명확하게 안내
시각적 매력방문자의 관심을 끌고 유지하도록 설계
최적화된 콘텐츠검색 엔진 최적화 (SEO)
관련 키워드 사용
페이지 로딩 속도 최적화
유형
리드 생성 랜딩 페이지연락처 정보 수집을 목표로 함
클릭 유도 랜딩 페이지방문자를 다른 페이지로 안내 (예: 제품 페이지)
인포머셜 랜딩 페이지긴 형식의 콘텐츠를 사용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
최적화
A/B 테스트다양한 버전의 랜딩 페이지 테스트
가장 효과적인 요소 식별
분석랜딩 페이지 성과 측정
전환율, 이탈률 등 분석
중요성
마케팅 캠페인 효과 증대타겟 고객에게 맞춤화된 경험 제공
전환율 향상
마케팅 ROI 증가
관련 용어
콜투액션 (CTA)방문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버튼 또는 링크
전환율랜딩 페이지 방문자 중 목표를 달성한 비율
리드연락처 정보를 제공한 잠재 고객
A/B 테스트두 가지 버전의 랜딩 페이지를 비교하여 더 효과적인 버전 식별
추가 정보
참고 자료Search Engine Optimization Terminology - ZNetLive Blog
Landing Page Optimization: The Definitive Guide to Testing and Tuning for Conversions

2. 랜딩 페이지의 종류

랜딩 페이지에는 크게 '''참조형'''과 '''거래형''' 두 가지 유형이 있다.

2. 1. 거래형 랜딩 페이지

거래형 랜딩 페이지는 방문자가 구매, 회원 가입 등 특정 거래를 완료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방문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양식을 제공한다. 이렇게 수집된 방문자의 정보, 특히 이메일 주소는 메일링 리스트에 추가되어 잠재 고객으로 관리된다.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방문자의 반응에 맞춰 이메일 캠페인 등을 진행할 수 있다. 거래형 랜딩 페이지는 방문자에 대한 최대한의 정보를 얻고, 궁극적으로 방문자를 실제 고객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랜딩 페이지의 기원과 발전

랜딩 페이지는 2003년 말 마이크로소프트의 IT 부서에서 오피스의 부진한 온라인 판매 실적에 대응하기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다. 초기 랜딩 페이지 제작 과정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과정을 단순화 및 효율화하기 위해, 2009년에는 언바운스를 포함한 여러 스타트업들이 설립되었다. 마침 2009년경 클라우드 컴퓨팅전자 상거래의 부상은 이러한 랜딩 페이지 전문 스타트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제공했다. 이후 고객들의 요구사항이 변화함에 따라, 랜딩 페이지를 이메일 마케팅, 리드 육성 및 고객 관계 관리(CRM) 시스템과 같은 다른 마케팅 솔루션들과 통합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4. 랜딩 페이지의 일반적인 형식

랜딩 페이지는 종종 명확하고 간결하며 행동 지향적인 헤드라인을 포함한다. 좋은 랜딩 페이지는 제품이나 서비스 제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그 가치를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마케팅 전문가는 웹사이트 탐색 메뉴를 제거하고 페이지 내외부 링크를 제한할 것을 권장한다.[3] 랜딩 페이지의 가입 양식은 제안의 가치를 반영해야 한다. 예를 들어, 무료 제안이나 뉴스레터 가입은 이메일 주소만 요청하는 반면, 가치가 높은 제안은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는 긴 양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이미지, 애니메이션 또는 짧은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는 소셜 미디어 공유를 쉽게 하기 위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작은 아이콘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4. 1. 스마트 링크

경쟁적인 소셜 미디어 및 음악 배포 플랫폼이 확산되면서, "스마트 링크"라고 불리는 최소한의 랜딩 페이지가 등장했다. 이는 기존 팬들에게 공유되는 짧은 URL로, 여러 플랫폼에서 동일한 콘텐츠로 연결되는 랜딩 페이지로 이어진다. 이를 통해 고객은 거래를 완료할 플랫폼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4][5]

5. 랜딩 페이지 최적화 (LPO)

'''랜딩 페이지 최적화'''(Landing Page Optimization, LPO)는 전환 최적화 또는 전환율 최적화(Conversion Rate Optimization, CRO)라고도 불리며, 인터넷 마케팅의 한 분야이다. 웹사이트 방문자를 잠재 고객이나 실제 고객으로 만드는 전환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랜딩 페이지는 사용자가 광고검색 엔진 결과의 링크를 클릭했을 때 처음 보게 되는 웹페이지를 말한다. 이 페이지는 보통 클릭한 광고나 링크의 내용과 관련된 더 자세한 정보를 보여준다. LPO는 목표하는 타겟 고객에게 웹페이지의 내용과 디자인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어 전환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 1. LPO의 주요 유형 (타겟팅 기반)

타겟팅 방식에 따라 랜딩 페이지 최적화(LPO)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6]

# '''연관 콘텐츠 타겟팅''' (''규칙 기반 최적화'' 또는 ''수동 타겟팅''): 방문자가 어떤 검색어를 사용했는지, 어디에서 접속했는지(지리적 정보), 또는 다른 알려진 일반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페이지 내용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는 특별한 연구 없이도 소비자를 시장 세분화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정보들을 이용한다.

# '''예측 콘텐츠 타겟팅''' (''능동적 타겟팅''): 방문자의 과거 구매 기록, 개인 정보(인구 통계), 검색 패턴 등 이미 알려진 정보를 활용한다. 이 정보들을 예측 분석 기법과 결합하여 방문자가 앞으로 어떤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은지 예측하고, 그에 맞춰 페이지 내용을 최적화한다.

# '''소비자 주도 타겟팅''' (''소셜 타겟팅''): 소비자들이 남긴 리뷰, 평점, 태깅, 추천 등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정보를 활용하여 페이지 콘텐츠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5. 2. LPO의 주요 유형 (실험 기반)

실험을 기반으로 랜딩 페이지 최적화(LPO)를 진행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폐쇄형 실험''': 여러 버전의 랜딩 페이지(예: 제목, 서식, 레이아웃 변경)를 만들어 방문자에게 노출시키고, 어떤 버전이 더 효과적인지(예: 전환율 상승)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때 방문자의 이탈을 유발할 수 있는 방해 요소(예: 기본 탐색 메뉴)는 제거될 수 있다.[7] 실험 기간이 종료되면,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장 성과가 좋은 페이지를 최종 선택하여 사용한다.

# '''개방형 실험''': 기본적인 방식은 폐쇄형 실험과 유사하지만, 가장 효과적인 페이지(우승자)가 결정된 후에도 실험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변형 페이지를 추가하며 테스트를 이어가는 방식이다. 이 접근법은 주로 대규모 기업에서 전환율을 계속해서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한다. 실험 결과에 따라 랜딩 페이지가 동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5. 2. 1. A/B 테스트

A/B 분할 테스트는 웹페이지의 두 가지 버전("A"와 "B")을 비교하여 어떤 버전이 더 효과적인지 확인하는 방법이다.[8] 목표는 홈페이지, 제품 페이지, FAQ 등 여러 웹페이지 버전이나 특정 요소(예: 리드 양식의 위치) 변경 시 어떤 버전이 더 매력적이고 효과적인지 판단하는 것이다. 두 개 이상의 버전을 비교할 때는 'A/B/n 분할 테스트'라고도 부른다. 데이터는 주로 클릭률이나 다른 전환 추적 방법을 통해 측정한다.

테스트는 순차적 또는 병렬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구현이 비교적 쉬운 순차적 테스트는 특정 기간 동안 각 버전을 번갈아 노출시키는 방식이다. 병렬(분할) 테스트는 두 버전을 동시에 노출하고 방문자 트래픽을 나누어 배분한다. 순차적 테스트는 테스트 기간이나 트래픽 패턴 차이로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A/B 테스트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기존 자원과 도구를 활용하므로 비용이 적게 든다.
  • 복잡한 통계 분석 없이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다.


A/B 테스트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 순차적 테스트 시 광고 캠페인, 검색 트래픽, 보도 자료, 계절성 등 외부 요인을 통제하기 어렵다.
  • 각 버전에서 여러 요소가 동시에 변경된 경우, 어떤 요소가 결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워 신뢰성 있는 결론 도출이 제한적이다.

5. 2. 2. 다변량 테스트 (Multivariate Testing)

다변량 테스트(Multivariate Testing, MVT) 또는 다변량 랜딩 페이지 최적화(MVLPO)는 랜딩 페이지의 여러 시각적 요소(예: 그래픽, 텍스트)에 대한 다양한 조합을 만들어 테스트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특정 페이지에서 제목 후보가 ''k''개, 주요 이미지나 그래픽 후보가 ''m''개, 회사 로고 후보가 ''n''개 있다면, 총 ''k × m × n''가지의 서로 다른 페이지 구성을 만들어서 테스트할 수 있다.

다양한 문구, 양식 레이아웃, 랜딩 페이지 이미지, 배경 색상 등을 조합하여 테스트함으로써 어떤 조합이 가장 좋은 성과(전환율 등)를 내는지 확인할 수 있다. 모든 요소가 전환율 개선에 동일하게 기여하는 것은 아니므로, 여러 테스트 결과를 비교 분석하면 어떤 요소가 지속적으로 전환율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다.

MVLPO 개념이 실험 설계에 처음 적용된 사례는 1998년 레고 그룹의 시뮬레이션/데모 프로젝트였으며, 이는 Moskowitz Jacobs Inc.에서 수행했다. 하지만 MVLPO가 널리 사용되는 주류 접근 방식으로 자리 잡은 것은 2003년 또는 2004년 이후이다.

MVLPO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 고객의 선호도를 이해하고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 데 있어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 사용하기 쉬운 방식으로 발전하여 많은 정보기술(IT) 전문가의 개입 없이도 활용할 수 있다. 간단한 자바스크립트 코드 몇 줄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외부 서버를 통해 페이지 변경, 데이터 수집, 결과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한 없이 실험해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다.


반면, MVLPO는 다음과 같은 단점도 가지고 있다.

  • 다른 모든 정량적 소비자 조사와 마찬가지로, GIGO(Garbage In, Garbage Out, 즉 '쓰레기를 넣으면 쓰레기가 나온다')의 위험이 있다. 의미 있는 결과를 얻으려면, 실제 고객 터치포인트에서의 문제점이나 회사의 전략적 사업 목표와 연결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테스트를 설계해야 한다.
  • 기본적으로 한 번에 하나의 페이지만 최적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 사용자 경험은 여러 페이지에 걸쳐 복잡하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에서는 구매 완료까지 12~18개의 페이지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고객 지원 사이트 등에서는 더 많은 페이지가 필요할 수도 있다.

5. 2. 3. 전체 경험 테스트 (Total-experience Testing)

총체험 테스트 또는 ''체험 테스트''는 방문자의 전체 웹사이트 경험을 ATG나 Blue Martini Software 같은 웹사이트 플랫폼의 기술적 기능을 사용하여 조사하는 실험 기반 테스트 유형이다. 여러 웹사이트를 만드는 대신, 총체험 테스트는 웹사이트 플랫폼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지속적인 경험을 만들고 고객이 어떤 경험을 선호하는지 모니터링한다.

총체험 테스트의 장점은 단일 페이지의 경험뿐만 아니라 고객의 전체 웹사이트 경험을 반영한다는 점이다. 반면 두 가지 단점이 있는데, 첫째는 경험 테스트를 지원하는 웹사이트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것이고, 둘째는 A/B 테스트나 MVLPO보다 결과를 얻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5. 2. 4. "F"자형 레이아웃

다양한 시선 추적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웹 페이지를 여러 방식으로 훑어보지만, 데스크톱과 모바일 환경 모두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패턴 중 하나는 "F"자 형태이다. 이 패턴은 사용자가 화면의 상단왼쪽을 먼저 집중해서 보고, 이후 아래쪽으로 시선을 옮기며 줄 단위로 내용을 훑어보는 경향을 말한다. 따라서 웹 개발자들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핵심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고 좋은 인상을 받을 수 있도록, 가장 중요한 정보를 페이지 상단과 각 문단의 첫 부분에 배치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5. 2. 5. 메시지 매칭 (Message Matching)

메시지 매칭은 랜딩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광고 등을 클릭하기 전 접한 메시지와 클릭 후 보게 되는 페이지의 메시지를 일치시키는 기법이다.[9] 메시지 매칭의 주된 목표는 사용자가 특정 광고나 링크를 보고 기대했던 제품이나 주제에 대한 정보를 담은 페이지로 정확히 연결해주는 랜딩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실행하는 방법은 방문자가 클릭했던 광고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키워드를 사용하고, 내용과 관련된 적절한 이미지를 활용하여 랜딩 페이지의 문구를 구성하는 것이다.[10]

페이지의 메시지가 사용자가 클릭한 이유를 다시 한번 명확히 해주면, 사용자의 혼란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전환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또한,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페이지의 이탈률 (전환 행동을 하거나 사이트 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떠나는 사용자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실제로 적절한 메시지 매칭은 많은 경우 전환율을 최대 50%까지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5. 2. 6. 디자인 매칭 (Design Matching)

디자인 매칭은 디스플레이 광고의 디자인 요소를 랜딩 페이지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한 후 랜딩 페이지에 도달했을 때 시각적인 일관성을 느끼게 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광고와 랜딩 페이지의 디자인, 전반적인 느낌, 전달하고자 하는 정서를 일치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Engine Optimization Terminology https://www.znetlive[...] 2016-07-15
[2] 서적 Landing Page Optimization: The Definitive Guide to Testing and Tuning for Conversions Wiley Publishing 2011-01-11
[3] 뉴스 Increase Conversions By Maximizing Your Website Landing Pages https://thefinancial[...] 2017-01-05
[4] 웹사이트 Use smart links to share content on social media https://www.gadgetsn[...] The Times of India 2021-01-29
[5] 웹사이트 Smart Links: Share your music all in one place and analyze your fans https://blog.groover[...] 2019-11-25
[6] 간행물 Integrating science into web design: Consumer-driven web site optimization
[7] 웹사이트 How To Create Landing Pages That Will Increase Your Conversion Rate http://blog.teknicks[...] 2013-10-15
[8] 웹사이트 Conversion Tracking in AdWords: Complete Guide {{!}} WordStream http://www.wordstrea[...]
[9] 웹사이트 Message Match - Monash Business School https://business.mon[...]
[10] 뉴스 How Message Matching and Landing Pages Build Successful Advertising Agencies https://instapage.co[...] 2016-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